로고

프로그룹
로그인 회원가입
  • 고객센터
  • 자주하시는 질문
  • 고객센터

    F.A.Q

    자주하시는 질문

    F.A.Q

    FAQ 검색
    FAQ 검색

    자주하시는 질문 목록

    1. Q

      탁송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?

      1. 탁송은 다음과 같은 종류로 구분됩니다.


      로드탁송

      차량을 고객이 희망하는 목적지로 보내야 할 때

      차량 사고 후 정비센터로 차량을 입고시키거나 출고해서 이동해야할 때

      공매, 경매로 구입하신 차량을 원하시는 장소에서 받고자 할 때

      고객이 운행하지 못하는 상황에 차량을 신속하게 이동시키고자 할 때


      캐리어탁송

      1대 이상, 다수의 차량을 목적지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

      고객이 원하는 목적지로 (기사의 운행 없이) 차량만 이동해야 할 때

      차량의 파손, 운행불가 사유 등으로 기사의 운행이 어려울 때

      주로 중고차, 수출차, 신차 출고, 정비공장 입고 등에 이용


      세이프티로더

      1대의 차량 탁송에 주로 이용

      수입차, 고가의 차량, 신차 등의 차량을 보다 안전하게 탁송해야 할 때

      수퍼카, 전시용 차량, 촬영 차량 등을 희망하는 목적지로 이동시킬 때

      저각도(0도) 탑재로, 모든 차량 상차 및 안정적 탁송이 가능


      제주도탁송

      고객의 차량을 제주도로 탁송하거나, 제주에서 내륙으로 탁송할 때

      제주->내륙: 제주에서 선적 -> 도착항구에서 차량 하역 후 고객께 인계

      내륙->제주: 전국출발지 -> 항구에서 선적 -> 제주항 하역 -> 탁송기사가 고객께 인계

      강원~제주, 전국 어디라도 안전하고 신속하게 탁송해드립니다!



      2. 탁송 차량은 다음과 같은 종류로 구분됩니다.


      2.5톤 -> 운행 불가한 차량 이동 시(견인), 고급 차량 이동 시(Safty Load)

      3.5톤 -> 1~2대 적재 가능, 단거리 이동에 주로 이용

      5.0톤 -> 3~4대 적재 가능, 중거리 이동에 주로 이용

      3.5톤 -> 5~7대 적재 가능, 장거리 이동, 많은 물량 이동 시 적합

      기타 -> 대형차, 화물차, 특수장비 이동을 위한 전용 탁송차량



      3. 해외운송 서비스


      포워딩: 컨테이너, RoRo 등의 방식을 통해 해외로 차량을 이동

      쇼링: 차량 수출을 위해, 사전에 상품을 검수/포장하는 과정

      통관: 차량의 해외 반출을 위해 세관에 승인을 얻는 절차

      기타: 필요한 서류준비/신고/운송/포워딩 등 전과정을 진행해드립니다.


    2. Q

      탁송신청 및 진행 과정은요?

      탁송을 문의하시면 다음과 같이 간편하게 진행됩니다.



      문의

      시간/장소 예약 -> 전문기사 배정 -> 캐리어 배차



      출발

      차량 검수 -> 차량 인수



      진행

      차량 탁송



      도착

      차량 인계 -> 탁송료 결제 -> 완료 보고


    3. Q

      문제 발생 시 대책을 알고 싶어요~

      사고관리


      최고의 전문기사 배치, 엄격한 사고관리, 최상의 안전관리시스템 운영, 완벽한 사고처리 전담팀 운영


      고객의 사고처리에 완벽을 기할 수 있도록 사고처리전문 담당자가 지정되어 사고처리가 완벽히 이루어지도록 지원




       운행범칙금 보상100% | 전원 보험가입




      과태료보상


      탁송기사 운행 시 과속/신호위반/버스전용차료 등 과태료 발생의 경우 운행내역 확인 후 100% 보상


       

      실무안전교육 실시


      신입기사 및 경력기사라도 필요시 강도높은 실무안전교육을 실시하여 고객의 차량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탁송할 수 있도록 최상의 탁송환경 제공


       

      전문기사 및 운송차량 관리


      엄격한 선발 기준과 탁송장비 검수시스템 운영. 완벽한 자격관리 및 품질관리. 분야 최상의 경력기사 배치. 서비스품질 및 무사고이력 등을 토대로 철저한 사후관리